[체험기] 쌍용, 2017년형 티볼리(with ADAS)
컨텐츠 정보
- 368 조회
- 목록
본문
쌍용이 티볼리를 통해 확실히 탄력 받았다. 쌍용차에 따르면 현재 소형 SUV 시장에서 70% 이상을 티볼리가 차지한다고 한다. 덕분에 르노삼성차의 내수 판매량을 넘어서기도 했으며 지금도 판매량 싸움에서 밀리지는 않을 정도로 성장해 있다.
쌍용차는 현재 소형차 구매층 다수가 소형 SUV 시장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앞으로 소형 SUV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대비해 쌍용은 티볼리에 각종 안전사양을 보강했고, 이것이 2017년식 티볼리다.
티볼리는 완성도 부족으로 우리팀에게 낮은 평가를 받았다. 안전사양 역시 기대반 우려반인 심정이었다. 2017년형은 달라진 모습을 보여줄까? 시승회에 참가해 짧은 체험을 해봤다.
먼저 2017년형 티볼리는 SUV 충전기, 수동식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동승석 통풍시트, 2열 히팅시트 열선 면적 확대, 2열 리클라이닝 시트 각도 설정 추가, 2열 암레스트 기본적용, 2단 러기지 보드, 러기지 사이드 커버가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부분적으로 상품성을 개선시킨 것이다.
하지만 주인공은 따로 있다. 2017년형 티볼리에는 긴급제동 보조 시스템(AEBS :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System), 전방 추돌 경보 시스템(FCWS : 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스마트 하이빔 (HBA : High Beam Assist),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LKAS : Lane Keeping Assist System),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LDWS :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으로 구성된 6가지 장비가 추가된다. 사실상 이것이 핵심이다.
물론 이미 많이 알려진 장비들이다. 전방 추돌 경보 시스템은 선행 차량과 충돌이 예상되면 경고음과 경고 화면을 보여주는 기능이다. 긴급제동 보조 시스템은 그래도 운전자가 속도를 줄이지 않으면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은 말 그대로 차선을 넘으려고 하면 경고음을 보여준다.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은 스티어링휠이 스스로 작동해 차선을 넘지 않도록 해준다. 스마트 하이빔은 주행 환경에 맞춰 하이빔과 로우빔을 오가는 기능이다.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이다. 보통 스티어링 어시스트(Steering Assist)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졌는데, 이러한 기능이 티볼리에 탑재된다는 점이 흥미롭다. 또한 언급된 장비 모두 60만원에 추가할 수 있다는 점 역시 인상적이다. 낮은 가격은 아니지만 안전을 생각했을 때 경쟁력 있다.
쌍용차가 준비한 시승 코스에 맞춰 주행에 나선다. 우선 전방 추돌 경보 시스템이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앞차와 가까워지거나 한 쪽 차선에 붙으면 경고음이 발생하는 것이다. 너무 예민하지도 않고 둔하지도 않다. 별다를 것 없이 예상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러한 기능은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들도 많이 경험해봤을 것이다.
본격적으로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을 작동시켜본다. 버튼을 한참 찾았다. 알고 보니 센터페시아 우측에 조그맣게 버튼이 추가됐다. 트립컴퓨터 조작도, 스티어링 답력조절도 모두 센터페시아에 나열된 버튼을 눌러야 한다. 인터페이스의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버튼을 누르니 계기판 중앙 모니터에 “차선유지보조 시스템 대기”라는 글자와 그림이 나온다. 이후 시속 60km 이상의 속도에 도달하니 “차선유지보조 시스템”으로 바뀌고 스티어링휠 모양의 그림이 등장한다.
그저 차선을 넘으려 하면 스티어링휠이 조금씩 움직여주면서 나가지 않도록 돕는 정도로 생각했다. 하지만 기능이 작동하기 시작하니 차선 중심부터 잡으려 하는 모습이다. 스티어링휠을 인위적으로 차선쪽으로 조작해도 이내 다시 차선 중심으로 되돌아온다. 스티어링휠에서 손을 떼고 약 10초가 지나면 경고 메시지를 띄우며 작동이 멈춘다.
사실 최근의 차선 이탈 보조 시스템 대부분이 이렇게 차선 중앙부터 잘 잡아준다. 벤츠, BMW, 아우디, 볼보, 제네시스 등 모델에 탑재된 기술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들은 쌍용차, 특히 티볼리와 달리 고급 브랜드이자 고가의 차량들이다.
참고로 인피니티는 브레이크를 조작해 차선을 넘지 않도록 도와주며, 캐딜락은 스티어링휠은 조작하지만 차선에 가까이 가서야 개입하는 방식이다.
기능 자체만 따지고 보면 쌍용차의 차선 이탈 보조 시스템은 꽤나 좋은 수준에 속하는 것이다. 완만한 코너가 접근해도 스스로 스티어링휠을 조작해 통과했다.
마침 주행 중 갑작스런 소나기가 내렸다. 앞이 안보일 정도의 폭우였다. 계기판 중앙 모니터를 살펴보니 차선 유지 보조 기능이 활성화됐다가 비활성화됐다가를 빠르게 오간다. 마치 깜빡이는 것처럼 보인다. 폭우가 발생하면 차선의 경계선이 흐려지고 비로 인해 센서의 인식률이 낮아질 수 있는데, 이러한 요인으로 예상된다. 이후 빗줄기가 약해지자 다시금 원래 기능을 회복하기 시작했다.
의외로 좋은 성능을 보였던 차선 이탈 보조 시스템의 도움으로 편하게 천안에 위치한 자동차 부품 연구원에 도착했다. 실제로 시연해보지 못했던 긴급 제동 시스템을 직접 경험하기 위해서다.
테스트 방법은 간단했다. 사람 마네킹 혹은 모형 자동차를 향해 천천히 접근하되 브레이크만 밟지 않으면 된다. 참고로 티볼리의 긴급 제동 보조 시스템은 시속 60km 이하의 속도에서 작동한다.
대략 20~30km/h 속도로 모형에 접근한다. 먼저 전방 추돌 경보 시스템이 작동한다. “삐삐삐”거리는 경고음이 작동해도 브레이크를 밟지 않자 스스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꽤나 갑작스러우면서도 강한 제동력이다.
운전석에서 바라보면 차에 닿지 않았을까 걱정이 될 정도로 가까이 붙은 상태로 차량이 정지한다. 정말 긴급한 상황서 사고를 피해주는 기능인 것이다. 시속 60km 이하의 속도에서 작동하지만 실제로 60km/h에 가까운 속도로 접근하면 제동 시스템은 작동하지만 구조물을 치고 만다. 이때는 사고를 피해주는(avoidance) 것이 아니라 속도를 최대한 줄여 피해 규모를 최소화(mitigation) 시켜준다는 개념으로 봐야 한다.
너무 기대를 하지 않아서일까? 짧은 체험이었지만 쌍용차의 액티브 세이프티 기능은 꽤나 만족스러웠다. 스티어링 어시스트까지 지원하는 6종 안전장치를 60만원이라는 가격에 추가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이다. 통상 이런 액티브 세이프티 패키지는 200만원을 넘는 경우가 많다.
분명 가격 경쟁력은 있어 보이다. 어떻게 가격에 내놓을 수 있었을까? 우선 티볼리에 적용된 6가지 액티브 세이프티 기능은 모두 차량에 탑재된 모노 카메라를 통해 시연된다. 카메라 모듈은 만도에서, 액티브 세이프티 칩셋은 이스라엘의 모빌아이(Mobileye) 제품을 사용한다.
카메라가 차선을 감지하고 전방 차량도 감지하며 불빛까지 감지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전방 추돌 경고나 긴급제동, 차선이탈 방지, 하이빔 어시스트 등의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스바루와 같이 카메라 2개를 사용하면 인식률이 높아지지만 가격이 높아진다.
초음파 센서나 레이더 센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때문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나 후측방 경보 시스템과 같은 사양은 빠지게 된다. 간단하게 카메라만 사용해 구현할 수 있는 모든 안전장비를 넣은 것이다. 효율적이면서 가격적인 이점까지 가져갈 수 있는 꽤나 똑똑한 전략이다.
그렇다면 왜 상급모델인 코란도C나 렉스턴과 같은 모델이 아니라 엔트리 모델인 티볼리에 이러한 기능을 넣었을까?
이에 쌍용차측의 답변이 흥미롭다. 티볼리를 구입하는 주 고객층은 운전이 미숙한 첫차 구매자다. 특히 여성 소비자가 58%에 이를 정도로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 비율이 높다. 운전이 미숙한 첫차 소비자들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안전이다. 이러한 액티브 세이프티 기능이 주요 소비자층의 사고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활용해 사고를 줄이면 소비자들에게는 보험 납부금액 부담도 줄어드는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
첨단 안전장비는 고급차가 아니라 생에 첫 차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에게 더 필요하다는 것. 꽤나 그럴듯하지 않은가?
쌍용차는 현재 소형차 구매층 다수가 소형 SUV 시장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앞으로 소형 SUV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대비해 쌍용은 티볼리에 각종 안전사양을 보강했고, 이것이 2017년식 티볼리다.
티볼리는 완성도 부족으로 우리팀에게 낮은 평가를 받았다. 안전사양 역시 기대반 우려반인 심정이었다. 2017년형은 달라진 모습을 보여줄까? 시승회에 참가해 짧은 체험을 해봤다.
먼저 2017년형 티볼리는 SUV 충전기, 수동식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동승석 통풍시트, 2열 히팅시트 열선 면적 확대, 2열 리클라이닝 시트 각도 설정 추가, 2열 암레스트 기본적용, 2단 러기지 보드, 러기지 사이드 커버가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부분적으로 상품성을 개선시킨 것이다.
하지만 주인공은 따로 있다. 2017년형 티볼리에는 긴급제동 보조 시스템(AEBS :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System), 전방 추돌 경보 시스템(FCWS : 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스마트 하이빔 (HBA : High Beam Assist),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LKAS : Lane Keeping Assist System),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LDWS :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으로 구성된 6가지 장비가 추가된다. 사실상 이것이 핵심이다.
물론 이미 많이 알려진 장비들이다. 전방 추돌 경보 시스템은 선행 차량과 충돌이 예상되면 경고음과 경고 화면을 보여주는 기능이다. 긴급제동 보조 시스템은 그래도 운전자가 속도를 줄이지 않으면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은 말 그대로 차선을 넘으려고 하면 경고음을 보여준다.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은 스티어링휠이 스스로 작동해 차선을 넘지 않도록 해준다. 스마트 하이빔은 주행 환경에 맞춰 하이빔과 로우빔을 오가는 기능이다.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이다. 보통 스티어링 어시스트(Steering Assist)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졌는데, 이러한 기능이 티볼리에 탑재된다는 점이 흥미롭다. 또한 언급된 장비 모두 60만원에 추가할 수 있다는 점 역시 인상적이다. 낮은 가격은 아니지만 안전을 생각했을 때 경쟁력 있다.
쌍용차가 준비한 시승 코스에 맞춰 주행에 나선다. 우선 전방 추돌 경보 시스템이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앞차와 가까워지거나 한 쪽 차선에 붙으면 경고음이 발생하는 것이다. 너무 예민하지도 않고 둔하지도 않다. 별다를 것 없이 예상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러한 기능은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들도 많이 경험해봤을 것이다.
본격적으로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을 작동시켜본다. 버튼을 한참 찾았다. 알고 보니 센터페시아 우측에 조그맣게 버튼이 추가됐다. 트립컴퓨터 조작도, 스티어링 답력조절도 모두 센터페시아에 나열된 버튼을 눌러야 한다. 인터페이스의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버튼을 누르니 계기판 중앙 모니터에 “차선유지보조 시스템 대기”라는 글자와 그림이 나온다. 이후 시속 60km 이상의 속도에 도달하니 “차선유지보조 시스템”으로 바뀌고 스티어링휠 모양의 그림이 등장한다.
그저 차선을 넘으려 하면 스티어링휠이 조금씩 움직여주면서 나가지 않도록 돕는 정도로 생각했다. 하지만 기능이 작동하기 시작하니 차선 중심부터 잡으려 하는 모습이다. 스티어링휠을 인위적으로 차선쪽으로 조작해도 이내 다시 차선 중심으로 되돌아온다. 스티어링휠에서 손을 떼고 약 10초가 지나면 경고 메시지를 띄우며 작동이 멈춘다.
사실 최근의 차선 이탈 보조 시스템 대부분이 이렇게 차선 중앙부터 잘 잡아준다. 벤츠, BMW, 아우디, 볼보, 제네시스 등 모델에 탑재된 기술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들은 쌍용차, 특히 티볼리와 달리 고급 브랜드이자 고가의 차량들이다.
참고로 인피니티는 브레이크를 조작해 차선을 넘지 않도록 도와주며, 캐딜락은 스티어링휠은 조작하지만 차선에 가까이 가서야 개입하는 방식이다.
기능 자체만 따지고 보면 쌍용차의 차선 이탈 보조 시스템은 꽤나 좋은 수준에 속하는 것이다. 완만한 코너가 접근해도 스스로 스티어링휠을 조작해 통과했다.
마침 주행 중 갑작스런 소나기가 내렸다. 앞이 안보일 정도의 폭우였다. 계기판 중앙 모니터를 살펴보니 차선 유지 보조 기능이 활성화됐다가 비활성화됐다가를 빠르게 오간다. 마치 깜빡이는 것처럼 보인다. 폭우가 발생하면 차선의 경계선이 흐려지고 비로 인해 센서의 인식률이 낮아질 수 있는데, 이러한 요인으로 예상된다. 이후 빗줄기가 약해지자 다시금 원래 기능을 회복하기 시작했다.
의외로 좋은 성능을 보였던 차선 이탈 보조 시스템의 도움으로 편하게 천안에 위치한 자동차 부품 연구원에 도착했다. 실제로 시연해보지 못했던 긴급 제동 시스템을 직접 경험하기 위해서다.
테스트 방법은 간단했다. 사람 마네킹 혹은 모형 자동차를 향해 천천히 접근하되 브레이크만 밟지 않으면 된다. 참고로 티볼리의 긴급 제동 보조 시스템은 시속 60km 이하의 속도에서 작동한다.
대략 20~30km/h 속도로 모형에 접근한다. 먼저 전방 추돌 경보 시스템이 작동한다. “삐삐삐”거리는 경고음이 작동해도 브레이크를 밟지 않자 스스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꽤나 갑작스러우면서도 강한 제동력이다.
운전석에서 바라보면 차에 닿지 않았을까 걱정이 될 정도로 가까이 붙은 상태로 차량이 정지한다. 정말 긴급한 상황서 사고를 피해주는 기능인 것이다. 시속 60km 이하의 속도에서 작동하지만 실제로 60km/h에 가까운 속도로 접근하면 제동 시스템은 작동하지만 구조물을 치고 만다. 이때는 사고를 피해주는(avoidance) 것이 아니라 속도를 최대한 줄여 피해 규모를 최소화(mitigation) 시켜준다는 개념으로 봐야 한다.
너무 기대를 하지 않아서일까? 짧은 체험이었지만 쌍용차의 액티브 세이프티 기능은 꽤나 만족스러웠다. 스티어링 어시스트까지 지원하는 6종 안전장치를 60만원이라는 가격에 추가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이다. 통상 이런 액티브 세이프티 패키지는 200만원을 넘는 경우가 많다.
분명 가격 경쟁력은 있어 보이다. 어떻게 가격에 내놓을 수 있었을까? 우선 티볼리에 적용된 6가지 액티브 세이프티 기능은 모두 차량에 탑재된 모노 카메라를 통해 시연된다. 카메라 모듈은 만도에서, 액티브 세이프티 칩셋은 이스라엘의 모빌아이(Mobileye) 제품을 사용한다.
카메라가 차선을 감지하고 전방 차량도 감지하며 불빛까지 감지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전방 추돌 경고나 긴급제동, 차선이탈 방지, 하이빔 어시스트 등의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스바루와 같이 카메라 2개를 사용하면 인식률이 높아지지만 가격이 높아진다.
초음파 센서나 레이더 센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때문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나 후측방 경보 시스템과 같은 사양은 빠지게 된다. 간단하게 카메라만 사용해 구현할 수 있는 모든 안전장비를 넣은 것이다. 효율적이면서 가격적인 이점까지 가져갈 수 있는 꽤나 똑똑한 전략이다.
그렇다면 왜 상급모델인 코란도C나 렉스턴과 같은 모델이 아니라 엔트리 모델인 티볼리에 이러한 기능을 넣었을까?
이에 쌍용차측의 답변이 흥미롭다. 티볼리를 구입하는 주 고객층은 운전이 미숙한 첫차 구매자다. 특히 여성 소비자가 58%에 이를 정도로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 비율이 높다. 운전이 미숙한 첫차 소비자들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안전이다. 이러한 액티브 세이프티 기능이 주요 소비자층의 사고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활용해 사고를 줄이면 소비자들에게는 보험 납부금액 부담도 줄어드는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
첨단 안전장비는 고급차가 아니라 생에 첫 차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에게 더 필요하다는 것. 꽤나 그럴듯하지 않은가?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