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7년 동안 칼 갈았다”···700㎞ 달리는 현대차 ‘넥쏘’
작성자 정보
- 멍멍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7 조회
- 목록
본문

현대차 수소전기차 넥쏘. / 사진=박성수 기자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현대자동차가 수소전기차 신형 ‘넥쏘’를 7년만에 출시한다. 넥쏘는 그동안 수소차 부침 속 판매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현대차는 차세대 넥쏘를 통해 분위기 반전에 나서겠다는 전략이다.
신형 넥쏘는 ‘환골탈태’ 수준의 변화를 이뤄내며 디자인은 물론 편의사양, 주행성능, 실내 공간 등을 현대차 최고급 신차 수준으로 끌어올리며 소비자를 사로잡겠다는 계획이다.
지난 19일 현대차 넥쏘를 시승했다. 넥쏘 디자인은 기존 현대차 차량에선 찾아볼 수 없었던 독특한 모습으로 구성했다.
전반적으로 직선형 디자인을 강조했으나 그렇다고 각진 SUV 느낌은 아니다. 선과 선이 이어지는 이음새 부분과 직선 끝 부분을 곡선으로 부드럽게 마감해 날렵하면서도 우아한 느낌을 준다.

田자 모양의 현대차 수소 심볼 HWTO이 곳곳에 디자인 요소로 들어가 차별화된 인상이다. / 사진=박성수 기자
특히 현대차를 상징하는 ‘H’와 수소(Hydrogen)를 뜻하는 ‘H’를 하나로 합친 ‘밭전 모양(田)’의 HWTO 심볼을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기 배치해 넥쏘만의 디자인 차별성을 강조했다.
앞뒤 범퍼는 입체적으로 디자인해 과감하면서도 우람한 체격을 보여주며, 볼드한 라인과 풍부한 볼륨감으로 차체가 상대적으로 커보이는 느낌이다.

실내 모습. /사진=박성수 기자
실내 디자인은 현대차 최신 신차 흐름인 계기판과 인포테인먼트를 하나로 길게 이은 파노라믹 디스플레이로 구성했으며, 하단부는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조장치 기능을 터치 식으로 배치했다. 해당 디스플레이 부분은 터치 한번으로 공조 조작계와 미디어·맵·내비게이션 등 주요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계로 전환이 가능하다.
기어봉은 운전대 우측 하단부에 컬럼식으로 따로 빼냈으며, 그 자리에는 컵홀더와 수납공간, 무선 스마트폰 충전대를 설치해 편의성을 높였다.

디지털 사이드 미러. /사진=박성수 기자
사이드미러는 디지털 방식이다. 기존 사이드미러가 달린 위치에는 카메라가 달려있으며, 운전자는 차 안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선명하게 좌우 후방 시야를 확인할 수 있다.
신형 넥쏘 디지털 사이드미러는 기존 현대차 전기차들과 위치가 바뀌었다. 기존 현대차 디지털 사이드미러가 도어 손잡이 바로 윗부분에 있었던 데 비해 넥쏘는 크래시패드 측면으로 배치해 이전보다 운전자쪽으로 가까워졌다.

디지털 사이드미러가 크래시 패드 측면에 위치해 시야 분산이 최소화된다. / 사진=박성수 기자
이에 운전 시 좌우를 살필 때 고개가 돌아가는 각도가 줄었다. 여기에 헤드업디스플레이(HUD)도 지원해 운전 시 시야 분산을 최소화했다.
뒷좌석은 2열 리클라이닝 각도가 이전 모델 대비 더 커져, 동승자가 장거리 주행 시에도 편하게 차량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2열 등받이 기울기가 이전보다 커져 동승자 편의성이 개선됐다. / 사진=박성수 기자
차량을 둘러보고 직접 차량을 운전했다. 이날 시승은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 호텔에서 인천 영종도 한 카페까지 왕복 약 100㎞구간에서 이뤄졌다.
전기모터로 주행하는 수소차 특성상, 전반적인 주행 감각은 전기차와 유사하다. 저속 구간에서도 빠른 가속이 가능했으며, 100㎞/h 까지는 힘이 넘쳤다. 그 이상 구간에선 기대만큼 속도가 붙지는 않았지만, 실생활 속도 구간에선 힘이 부족한 느낌은 없었다.

후측면 모습. / 사진=박성수 기자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정숙성이다. 여러 차를 시승했지만, 넥쏘는 그 중에서도 외부 소음을 줄여주는 데는 최상급의 능력을 보여줬다. 바닷바람이 거센 영종대교를 지나갈 때도 풍절음을 거의 느낄 수 없었으며, 도로를 공사하는 구간과 거친 도로를 달릴 때도 노면 소음이 들리지 않았다.
넥쏘는 액티브 로드 노이즈 컨트롤 기술을 적용해 주행 중 발생하는 각종 노면 소음을 억제하며, 이중 접합 차음 유리를 탑재해 외부 소음을 최소화한다.

현대차 최초로 적용한 오디오 바이 뱅앤올룹슨 프리미엄 사운드. / 사진=박성수 기자
여기에 현대차 최초로 적용한 ‘오디오 바이 뱅앤올룹슨 프리미엄 사운드’를 통해 깨끗하고 풍성한 음질의 음악을 감상하며 달릴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인 부분이다.
아울러 고속도로 주행 보조2, 전방충돌방지 보조,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기능 등 각종 첨단 주행 보조 기능을 넣어 주행 중 피로감을 줄여준다.
넥쏘 주행 가능 거리는 수소 연료탱크 6.69㎏, 복합 신고연비 107.6㎞/㎏ 기준 등을 더해 최대 720㎞다.

기착점에서 목적지까지 운전한 연비. / 사진=박성수 기자
이날 시승 후 기록한 연비는 95㎞/㎏다. 차량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연비를 신경쓰지 않고 주행했고, 에어컨을 계속 켜고 달린 점 등을 감안하면 실질 연비는 신고 연비 수준보다 높게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같이 시승한 기자들 중 상당수는 연비 100㎞/㎏를 훌쩍 넘겼다.
넥쏘 기본 가격은 트림에 따라 7644만~8345만원부터며, 시승차량 가격은 풀옵션을 탑재해 약 8700만원이다. 여기에 정부 수소전기차 보조금 2250만원과 지자체 보조금 700만~1500만원 등을 감안하면 시작 가격은 약 3900만원부터이며 풀옵션 차량은 5000만원대다.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